현재 넷플릭스 계정 공유에 있어 변경되는 점이 있어 설명드리겠습니다. 넷플릭스 공식홈페이지에 공지가 되어 있는 것을 바탕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. 계정 공유가 무조건 안 되는 것인지 공유가 된다면 어떤 조건이 만족되어야 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.
계정 공유
이제 계정 공유를 하려면 가구 구성원이어야 합니다. 말 그대로 같이 살고 있는 가구가 아니라면 계정 공유를 기본으로 할 수 없습니다. 떨어져서 거주하고 있는 경우에는 새 넷플릭스 계정에 가입해야 하고 비용을 지불하고 계정 추가를 해야 합니다.
무료로 가능한 경우
- 기존에는 거리에 상관없이 디바이스에 상관없이 계정 공유가 가능했지만 기본 위치라는 개념이 생겨 계정 소유자의 기본 위치에 함께 살고 있는 사람에게만 계정 공유가 가능합니다.
비용 지불 해야 하는 경우
- 계정 소유자의 기본 위치에 살고 있지 않은 사람은 가구 구성원 취급을 받지 못해 무조건 계정 추가 비요을 지불해야 합니다. 새 넷플릭스 계정으로 해당 계정 소유자의 프로필로 들어가는 것입니다. 그러므로 내 정보와 시청기록등을 그대로 가지고 해당 계정으로 들어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계정 공유 유료화
이제부턴 계정 공유 하는 것 자체를 유료화시켰습니다. 간단히 생각하면 계정을 한 명 공유할 때마다 약 3,700 원이라는 비용이 부과됩니다.
다만 가구 구성원이 아닌 사람과 계정을 공유해도 시청 차단만 될 뿐 자동 추가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 점을 알고 계시면 좋겠습니다.
넷플릭스 기본 위치
IP주소와 디바이스 ID 가 활동하는 계정의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기본 위치에 연결된 디바이스 인지 확인합니다. 즉 같은 IP 가 아니고 같은 장치가 아니라면 기본 위치라고 판단하지 않습니다.
예를 들어 멤버십 가입 계정으로 다른 지역에 여행을 가서 넷플릭스 시청을 할 때 내 디바이스는 맞지만 기본 위치가 아니기 때문에 시청 차단이 될 수 있습니다. 이때 연속 7일간 시청할 수 있는 임시 액세스 코드를 요청하여 시청을 할 수 있습니다.
최소 한 달에 한 번 기본 위치에서의 wi-fi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넷플릭스를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시청해야 기본위치 연결이 됩니다.
이렇게 3월 중 넷플릭스 계정 공유 금지되는 것과 변경되는 점을 확인해 봤는데 처음이라 복잡한 사항이 많은데 간단하게 정리해 보면 같이 살지 않으면 추가 요금을 내고 계정을 공유하는 형태로 사용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.